gongam-posts

공감

|

SM

SM

autumn

DH

JH

JH

TS, JS에서 연산자 “|”

제공

TS, JS에서 연산자 “|” 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. 자바스크립트에서는 “|” (한개)이면 비트 연산자, “||” (두개)이면 “또는(or)”로 사용됩니다. 타입스크립트에서는 “|” 이면 두개 타입 중에 하나의 타입 즉 “또는(or)” 로 사용됩니다.


동등 비교 연산자(Equality operators)

■ 정의
ⓐ == // 값이 같음
ⓑ != // 값이 다름
ⓒ === // 값과 타입이 둘다 같음
ⓓ !== // 값과 타입이 다름

■ 참조
ⓐ ! // 값을 논리적으로 부정(NOT)해서 true/false로 만든다.
ⓑ !! // 값을 한번 더 부정해서, 원래 값의 참/거짓 여부를 불리언(Boolean) 값(true/false)로 변환한다.
ⓒ 예시)
<< js
console.log(0) // 0 숫자이나 불리언으로 보면 false 이다.
console.log(!0) // true
console.log(!!0) // false 0에 대한 불리언 값은 false 이다.

■ 예시
<< js
console.log( 5 == 5 ); // true
console.log( 5 != 5 ); // false
console.log( 5 != 6 ); // true
console.log( 5 == 6 ); // false
console.log( 5 == '5' ); // true
console.log( 5 === '5' ) // false
console.log( 5 == true ); // true
console.log( 5 === true ); // false
console.log( 0 == false ); // true
console.log( 0 === false ); // false

논리 연산자(Logical operator)

■ 정의
ⓐ && // 그리고
ⓑ || // 또는
ⓒ ! // 부정(단항연산자에서 온것)
ⓓ !! // 불리언값으로 변환 (단항연산자 응용버전)

■ 예시
<< js
let number = 10;
if (number >=0 || number < 20) {
console.log(' 0 <= number < 20')
}

if (number != 9) {
console.log('it is not 9')
}

console.log(true && true); // true
console.log(true && false); // false
console.log(false && true); // false
console.log(false && false); // false

console.log(true || true); // true
console.log(true || false); // true
console.log(false || true); // true
console.log(false || false); // false
>>

연산자 : ” | “

■ 비트 or 연산자(자바스크립트)
ⓐ 두 비트를 하나로 합하는데, (더하는게 아니라)
ⓑ 두 숫자의 각 비트를 비교하여 하나라도 1이면 1이다.
ⓒ 숫자 연산에서만 사용
ⓓ 예제
<< js
console.log(5 | 3);
// 5: 0101
// 3: 0011
// result: 0111 (십진수 7)

■ 유니언 타입(타입스크립트)
ⓐ TypeScript 에서 a | b 는 유니언 타입을 정의합니다.
ⓑ a 또는 b 둘 중에 하나의 타입이라는 의미이다.
ⓒ 변수나 매개변수 타입을 여러 개 중 하나로 설정할 수 있다.
ⓓ 예제)
<< ts
let value: string | number;
value = 'hello'; // 가능(string)
value = 100; // 가능(number)
value = true; // 오류(true가 Boolean)
>>

<< ts
type Animal = 'dog' | 'cat';
let pet: Animal;
pet = 'dog'; // 가능
pet = 'cat' // 가능
pet = 'fish' // Error: 'fish'는 'dog'나 'cat' 이 아님

3항 조건 연산자

■ 3항 조건 연산자 문법은 다음과 같습니다.
ⓐ 조건이 참이면 a 를 값으로 반환하고,
ⓑ 조건이 거짓이면 b를 값으로 반환합니다.
ⓒ 문법 :
<< js
조건 ? a(참일 때 값) : b(거짓일 때 값)
>>

ⓓ 예시)
<< js
let age = 20;
let result = (age >= 18) ? '성인' : '미성년자';
console.log(result); // 성인

코멘트

답글 남기기

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. 필수 필드는 *로 표시됩니다